소상공인 풍수해보험 가입방법, 보험료 지원
기상악화, 자연재해는 누구도 정확히 예측할 수 없기에 피해도 막심합니다. 이에 대처하고 보상받을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선진국형 재난관리제도인 풍수해보험입니다. 소상공인 풍수해보험 가입 방법과 보장 범위, 보험료 지원 대상, 보험금 등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풍수해, 지진재해보험 대상 재해
- 태풍
- 호우
- 홍수
- 강풍
- 풍랑
- 해일
- 대설
- 지진
- 지진해일 등
우선 구체적인 보험 대상 자연재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합니다. 태풍, 호우, 홍수, 강풍, 풍랑, 해일, 대설, 지진, 지진해일 등의 예기치 못한 자연재해가 이에 포함되고 있습니다.
이는 관측소에서 관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데, 관측되지 않은 돌풍이나 국지성 호우로 인한 피해 또한 행정안전부에서 확인 및 인정하였다면 이 또한 보상받을 수 있게 됩니다.
* 풍수해, 지진재해보험 가입 대상
- 주택
- 농업, 임업용 온실 및 비닐하우스
- 소상공인 및 노란우산 회원의 상가 및 공장
풍수해보험 가입 대상은 건축물관리대장에 등재되어 있는 주택, 그리고 농업 및 임업용 온실과 비닐하우스가 포함됩니다. 이때 온실과 비닐하우스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고시한 규격 시설만 보험 가입이 가능합니다.
소상공인의 경우 상가 및 공장을 풍수해보험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단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발급한 소상공인 확인서,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등 소상공인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가 확인되어야만 합니다.
* 소상공인 풍수해보험 정부 지원
- 주택: 55~87%
- 온실: 70%
- 소상공인 상가 및 공장: 55%
- 저소득층: 일부 100%
풍수해보험은 필수 가입은 아니지만 점차 제도화되고 있으며 정부 지원도 적극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주택의 경우 일반 55%, 차상위계층 78%, 기초생활수급자 및 재해취약지역 87% 이상의 보험료를 정부가 지원하고 온실은 70&, 소상공인(소유자 및 임차인)의 상가와 공장 등은 55%까지 지원합니다.
풍수해 보험금이나 피해 지원금을 받은 주택 등에 저소득층이 실제 거주 중이라면, 지자체를 통한 단체 가입 시 보험료가 100% 전액 지원되기도 합니다.
* 소상공인 풍수해보험 가입 방법
- DB손해보험
- 현대해상
- 삼성화재
- KB손해보험
- NH농협손해보험
- 한화손해보험
- 메리츠화재
- 중소기업중앙회
풍수해 지진재해 보험은 정부나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시중 7개 보험사에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가입을 희망한다면 원하는 보험사 한 곳을 골라 전화, 방문 또는 홈페이지나 어플을 통해 인터넷 가입을 진행하면 됩니다.
소상공인이라면 가입 시 소상공인 여부 그리고 공제료를 확인한 뒤 가입할 수 있으며, 보험사에 따라 모든 보험상품을 취급하기도 하고 일부 보험상품만 취급하기도 하니 여러 곳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풍수해보험의 보험기간은 1년으로, 가입자는 1년마다 새로 가입하여야 하며 가입일 이전의 피해에 대해서는 보상받을 수 없습니다. 하천고수부지 내 설치된 비닐하우스는 11~3월 동절기에만 대설 및 강풍 등의 재해에 대한 보험 가입이 허용된다는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풍수해보험 보험료, 보험금
- 보험료: 단독주택(80㎡) 기준 34,900원(자부담 15,700원)
- 보험금: 1,800만원~7,200만원
마지막으로, 실제 상황을 가정하여 보험료와 보험금도 소개합니다. 80㎡, 즉 약 24평 규모의 단독주택이 풍수해보험에 가입한다면 보험금은 3만4천9백원 정도가 산출됩니다. 이중 1만9천2백원은 정부지원이 가능하므로 실제 가입자가 지불하는 금액은 1만5천7백원 정도입니다. 자세한 금액은 지역별 차이가 있습니다.
가입 시에는 피해 정도에 따라 적게는 1천8백만원, 반파 시에는 3천6백만원, 전파 시에는 7천2백만원 등의 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풍수해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복구비의 30~35% 정도만 재난지원금으로 복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재난 지원금의 합산 금액은 최대 5천만원을 넘을 수 없어 미보험 시에는 보다 낮은 보상을 받게 됩니다.
더 많은 내용과 실제 사례는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의 관련 메뉴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요약 및 정리
미래는 알 수 없기에 그저 대비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자연재해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거주하는 공간인 주택은 물론 생계와 연관된 온실과 상가, 공장 등의 피해를 줄이고 싶다면 지금 바로 보험사를 통해 원하는 풍수해보험 상품에 가입하고 자산을 보호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 글 더보기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플라자 호텔 뷔페 가격, 할인 (0) | 2024.09.08 |
---|---|
강화섬 도도하게 살아보기 예약, 가격 (0) | 2024.09.06 |
인천 공항버스 예매 방법, 시간표 조회 (0) | 2024.09.02 |
삼성 에어컨 열대야 쾌면기능 효과, 설정 (0) | 2024.08.31 |
다이슨 에어랩 빨간불, 필터청소 (0)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