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호 좌회전 방법 및 과실 비율
필기시험과 기능시험, 도로주행을 거쳐 운전면허를 취득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실제 운전을 위한 기본 상식을 학습하고 체득하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 도로에서는 면허 취득 과정에서는 알 수 없었던 일들이 벌어지기도 하여 초보 운전자를 당황하게 만드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비보호 좌회전입니다. 언제 비보호 좌회전이 가능한지 그 상황과 비보호 좌회전 방법, 그리고 사고 발생 시 과실 비율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보호 좌회전이 있는 이유
비보호 좌회전은 말 그대로 별도의 신호 없이 운전자의 판단 하에 좌회전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여러 운전자를 혼란스럽게 하고 사고 위험도 높이는 비보호 좌회전이 왜 도입되었는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비보호 좌회전은 통행량이 적은 교차로에서 직진 신호일 때 좌회전이 허용되는 운전 방식입니다. 이를 허용하면 차량이 별도로 좌회전 신호를 기다릴 필요가 없어 교통 흐름이 빨라지고 자동차 매연이나 배출가스 등도 감소됩니다. 이로 인해 도입 및 활용되고 있습니다.
비보호 좌회전 방법
그렇다면 언제, 어느 도로에서 가능한지 비보호 좌회전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비보호 좌회전이 허용되는 도로는 별도의 표기가 되어있으므로 구분이 어렵지 않습니다. 차량신호등 위에 [비보호]이라는 사인이 붙어있거나 도로에 노면표시로 [비보호]라는 글씨가 적혀있기 때문입니다. 이 같은 비보호 좌회전 허용 도로에서는 직진을 허용하는 초록불이 켜졌을 때 좌회전 이용이 가능합니다.
비보호 좌회전 사인은 위와 같습니다. 신호기 옆에 부착되어 있거나 도로에 새겨져 있습니다. 위 표시가 되어 있는 도로에서만 비보호 좌회전이 가능하며 반드시 직진 초록불이 들어왔을 때에만 통행이 가능합니다. 위 사인이 있는 교차로에서만 가능합니다.
비보호 좌회전 방법의 핵심은 그러므로, 세 가지로 정리됩니다. 하나는 위와 같은 사인이 있는 도로일 것 다음은 초록불이 들어왔을 때 통행할 것 그리고 마지막은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운행할 것입니다.
경찰청에서 제공하는 자세한 예시를 통해 비보호 좌회전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비보호 좌회전이 붙은 신호등의 좌회전 신호 점등 시 좌회전이 가능합니다. 직진 신호 점등 시에도 반대편 도로에 차량이 없다면 좌회전이 가능합니다. 즉 직진 신호가 켜졌다 하더라도 반대편에 차량이 있다면 비호호 좌회전 불가입니다.
마지막으로 비호호 좌회전 구간에서도 빨간불에 좌회전을 하는 것은 신호 위반에 포함되며 교통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큽니다. 이러한 경우 신호위반 범칙금 6만원이 부과되며 벌점 15점이 매겨집니다. 반대편에 차량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와 상관 없이 신호위반에 적용됩니다.
비보호 좌회전 과실 비율
헷갈리기 쉬운 비보호 좌회전 방법으로 인해 실제 도로에서는 크고 작은 사고가 다양하게 일어납니다. 이때의 과실 비율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비보호 좌회전 구역에서 초록불이 켜져 직진 차량과 좌회전 차량이 부딪혔을 경우, 비보호 좌회전 과실 비율은 직진차량이 20%, 좌회전 차량이 80%를 부담한다고 합니다. 서로 안전운전의 의무를 다하지 못했기 때문에 쌍방과실이나 비율에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단 고정된 것은 아니며 사고의 디테일에 따라 실제 책임 비율은 달라집니다.
빨간불에 비보호 좌회전을 해서 사고가 발생했다면 해당 차량이 100% 비보호 좌회전 과실 비율을 부담하게 됩니다. 사고 디테일과 피해 규모에 따라 범칙금과 벌점은 커질 수 있으며 승팝차/승용차/이륜차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마지막으로 횡단보도에서의 비보호 좌회전 과실 비율도 알아보겠습니다. 초록불이라 하더라도 비보호 좌회전으로 인해 실제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했거나 위협하였을 경우 이는 차량의 과실로 6만원 이상의 범칙금과 10점 가량의 벌점 누적으로 이어집니다. 만약 빨간불에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였을 경우 그 이상의 패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고 합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HS코드 조회, 품목분류 (0) | 2020.02.26 |
---|---|
레이노 썬팅 가격표 등급별 정리 (0) | 2020.02.25 |
집들이 선물 베스트 추천 (0) | 2020.02.22 |
증권거래세 신고기한, 신고방법 (0) | 2020.02.21 |
셀토스 가격표 및 견적 조회 (0) | 2020.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