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감리원 자격, 업무 범위

생활|2023. 10. 6. 13:45
반응형

공사 시에는 정보통신 감리원을 배치하여 설비가 정확하고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정보통신 감리원은 정보통신 설비에 관한 기술이나 기능을 보유한 사람으로, 인정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따라 등급이 구분됩니다. 정보통신 감리원 자격 기준, 업무 범위를 하나씩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보통신기술자 구분 및 자격종목

구분 자격종목
기술사 정보통신, 산업계측제어, 정보관리, 토목구조, 철도신호 등
기능장 통신설비, 전자기기 등
기사 방송통신,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임베디드, 로봇기구개발, 광학 등
산업기사 정보통신, 통신선로, 사무자동화, 전자계산기제어, 반도체설계, 의공 등
기능사 통신기기, 정보기기운용, 전파전자통신, 무선설비, 전자기기, 전자캐드, 철도전기신호, 의료전자 등

정보통신기술자는 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등의 등급으로 구분됩니다. 각각은 특정 기술자격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이를 각각 살펴보면 기술사는 정보통신, 토목구조, 철도신호 등을, 기능장은 통신설비 또는 전자기기, 기사는 정보통신, 전파전자통신, 방송통신, 빅데이터분석, 로봇소프트웨어개발 등을, 산업기사는 무선설비, 통신선로, 사무자동화, 반도체설계, 토목 등을, 기능사는 통신선로, 정보기기운용, 전자캐드, 철도전기신호, 광학, 의료전자 등의 종목의 기술자격을 취득해야 하겠습니다.

 

 

 

 

  정보통신 감리원 자격

1) 초급 감리원

구분 조건
기술자격자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 취득자
기능사 자격 취득 후 6년 이상 경력보유자
학력·경력자 학사 이상 학위 취득 후 1년 이상 경력보유자
전문대학 졸업 후 3년(2년제는 2년) 이상 경력보유자
고교 졸업 후 6년 이상 경력보유자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에서 1년 이상 과정을 이수한 6년 이상 경력보유자
경력보유자 학사 이상 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경력보유자
전문대학 졸업 후 5년(3년제는 4년) 이상 경력보유자
고교 졸업 후 7년 이상 경력보유자
공사업무 10년 이상 수행한 사람

이번에는 정보통신 감리원 자격조건을 살펴보겠습니다. 정보통신 감리원 자격조건은 기술자격을 갖춘 사람, 학력 및 경력을 갖춘 사람, 경력을 갖춘 사람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습니다. 우선 초급 정보통신 감리원은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또는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중 6년 이상 관련 공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이 해당됩니다. 전자·통신 및 정보처리기술 관련학과의 전공자로, 학사 이상 학위를 취득하고 1년 이상 공사에 참여하였거나 전문대학 및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력을 쌓아도 가능합니다. 비전공자라면 직업훈련원 등의 시설에서 정해진 과정을 이수하고 실무 6년 이상의 경력을 갖추면 되겠습니다.

 

경력자는 학사 이상 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근무하였거나, 전문대학 졸업 후 5년 이상 근무하였거나, 고교 졸업 후 7년 이상 근무하였거나 또는 학력과 무관하게 관련 공사 업무를 10년 이상 수행한 경력이 확인되어야 하겠습니다.

 

 

 

 

2) 중급 감리원

구분 조건
기술자격자 기사자격 취득 후 3년 이상 경력보유자
산업기사자격 취득 후 6년 이상 경력보유자
기능사 자격 취득 후 12년 이상 경력보유자
학력·경력자 석사 이상 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경력보유자
학사 학위 취득 후 6년 이상 경력보유자
전문대학 졸업 후 9(3년제는 8) 이상 경력보유자
고교 졸업 후 12년 이상 경력보유자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에서 1년 이상 과정을 이수한 12년 이상 경력보유자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에서 2년 이상 과정을 이수한 9년 이상 경력보유자
경력보유자 학사 이상 학위 취득 후 9년 이상 경력보유자
전문대학 졸업 후 12(3년제는 10) 이상 경력보유자
고교 졸업 후 15년 이상 경력보유자
공사업무 20년 이상 수행한 사람

 

 

다음은 정보통신 감리원 중 중급감리원의 자격입니다. 등급이 높아지면서 초급감리원에 비해 보다 높은 자격 조건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기사 자격 취득 후 3년, 산업기사 취득 후 6년, 기능사 자격 취득 후 12년 이상의 경력이 확인되어야 합니다. 또는 석사 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업무를 수행했거나, 학사 학위 취득 후 6년 이상 업무를 수행하였거나, 전문대학 졸업 후 9년 그리고 고등학교 졸업 후 12년 이상 공사업무를 수행하여야 합니다. 또는 훈련시설에서 전문과정을 이수하고 10년 여의 수행 경력을 갖추면 되겠습니다.

 

경력자의 경우 학사 학위 취득 후 9년 이상 경력을 쌓은 사람, 전문대 졸업 후 12년 이상 경력을 쌓은 사람, 고등학교 졸업 후 15년 이상 공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 또는 공사업무를 20년 이상 수행한 사람이 대상이 됩니다. 업무 경력과 기간이 서류로 확인되어야 하며, 실제로 일했다 하더라도 서류 증빙이 불가하다면 경력 인정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고급감리원

구분 조건
기술자격자 기사자격 취득 후 6년 이상 경력보유자
산업기사자격 취득 후 9년 이상 경력보유자
기능사 자격 취득 후 14년 이상 경력보유자
학력·경력자 -
경력보유자 -

고급감리원은 기술자격자만 등극할 수 있습니다. 기사자격 취득 후 6년 이상 현장에서 실무 경력을 쌓은 경우, 산업기사 자격 취득 후 9년 이상 공사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한 경우, 기능사 자격 취득자가 14년 이상 경력을 확보한 경우가 이에 해당됩니다.

 

 

 

 

4) 특급감리원

구분 조건
기술자격자 기술사
학력·경력자 -
경력보유자 -

현재 가장 높은 등급에 해당하는 특급감리원은 오로지 기술사 자격 보유자만이 등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자격기준 때문에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문제도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력수급을 위한 제도 개선이 이루어질 예정인데, 이를테면 박사학위 취득자가 일정 기준 이상의 공사업무를 수행하는 등입니다. 이 외에도 학력, 경력, 교육이수 등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기준이 생겨날 계획이라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 감리원 업무 범위

  1. 공사계획·공정표 검토
  2. 작성된 시공상세도면의 검토·확인
  3. 설계도서·시공도면이 현장조건에 적합한지 여부와 시공가능성 등에 관한 사전검토
  4. 공사가 설계도서 및 관련규정에 적합하게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
  5. 공사 진척부분의 조사·검사
  6. 사용자재의 규격 및 적합성에 대한 검토·확인
  7. 재해예방대책, 안전관리 확인
  8. 설계변경 사항의 검토 및 확인
  9. 하도급 타당성 검토

마지막으로, 정보통신 감리원이 해야하는 업무의 내용도 훑어보겠습니다. 감리원은 공사 계획, 공정표, 도면 등의 관련 문서를 검토해야 합니다. 문서의 내용이 실제 현장 조건에 적용될 수 있는지도 공사 전 확인해야 합니다. 공사가 시작된 후에는 설계서 및 규정에 적합한 방식으로 행해지고 있는지, 적합한 자재가 쓰이고 있는지, 재해예방대책과 안전관리 상태는 어떠한지, 하도급 업체의 선정 등은 타당한지 그리고 설계 변경이 있는 경우 내용이 합당한지 등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물음표-그림-위에-제목이-적혀있다.
정보통신 감리원 자격 조건

정보통신 감리원 자격, 업무 범위, 배치 기준 등과 관련한 내용은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 등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실무를 위한 관련 법 내용도 계속해서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니 가장 정확한 내용은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확인해보시기를 바랍니다.

 

 

 

 

  관련 글 더보기

해기사 면허 갱신 신청, 온라인 교육

 

해기사 면허 갱신 신청, 온라인 교육

해기사로 불리는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5년마다 면허를 갱신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정 기관에서 면허갱신교육을 이수해야 하며 직종에 따라 구비서류도 갖추어야 합니다. 해기사 면

52gram.tistory.com

파견근로 허용 업종, 2년 초과 시 직접고용 규정

 

파견근로 허용 업종, 2년 초과 시 직접고용 규정

업무의 특성상, 또는 사업장의 특성상 특정 기간에 특정 작업을 위한 파견근로자가 요청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파견법에 의하면 파견근로 허용업종과 업무 범위는 정해져 있으며, 고용기간 또

52gram.tistory.com

토목공사업 등록조건, 면허 자본금

 

토목공사업 등록조건, 면허 자본금

튼튼하고 안전한 건물은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 중 하나입니다.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건설 관련 업종은 누구나 등록할 수는 없습니다. 정해진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만 비로소 시작할 수 있는 것

52gram.tistory.com

 

반응형

댓글()